영화 크래쉬(Crash)를 보고 딱 드는 생각은 ‘인종차별’이었다. 백인 경찰관인 라이언은 경찰 무전으로 흑인 2명이 지방검사 차량인 링컨을 도난당했다는 무전을 받지만, 앞에 지나가는 비슷한 차량에서 흑인 두 명이 성적행위를 하는 모습을 보고 따라가 기본 이상의 과한 검문을 실시하고, 아버지의 문제로 보험공단 직원이랑 통화하지만 흑인이라는 이유로 무시를 하였다. 아랍인이었던 프레드는 자물쇠 수리공인 다니엘에게 무조건 자물쇠를 고치라고만 한다. 그의 말인 자물쇠는 새로 바꿨으나 문을 새로 바꿔야 한다는 것을 무시한 채. 지방검사의 아내인 진은 흑인 및 라틴계열 사람이라면 일반화 시켜 무시를 한다. 여기서 모든 내용을 말할 수는 없지만 전체적인 내용을 봤을 때는 ‘인종차별’이라는 단어만 생각이 맴돈다.
허나 다시 한 번 보면 ‘인종차별’이라기보다 대화의 단절, 이해를 하지 않는 노력으로부터 문제를 야기한다고 생각한다. 사실 라이언은 인종차별을 하긴 하지만 오해로부터 시작되었다. 자신의 아버지가 사업을 시작할 때 흑인들로만 고용을 했으나 정부 정책이 변경됨으로 인하여 본인 일자리를 잃게 된 이후로부터 흑인들을 싫어하였다. 사실 아랍인이었던 프레드 또한 이라크인과 비슷하다는 생겼다는 이유로 가게가 파손되어 이게 자물쇠 수리공인 다이엘의 잘못이라 여겨 총을 들고 다니엘을 찾아가 총을 쐈다. 더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이 모든 것이 대화의 단절과 오해로부터 시작된 행동이다.
또한 이 영화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우리가 언제든지 가해자와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항상 백인으로부터 피해를 받던 피해자의 입장이었던 흑인이 실수로 인하여 황인종을 차로 치는 가해자의 입장이 되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차량을 강탈했던 가해자였던 흑인이 히치하이킹을 타고 가는 도중 백인의 오해로 인하여 죽임을 당한 피해자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이라크인으로 오해하여 전 재산이었던 가게에 피해를 봤던 피해자였던 아랍인이 라틴계열인 열쇠 수리공, 그 사람으로부터 모든 문제가 시작 됬다고 생각하여 그 사람을 찾아가 총을 쏜(비록 공포탄이였지만) 가해자가 되기도 했다. 차량을 도난 당한 피해자였던 백인 여자가 본인 집 안에서는 유색인종을 무시하는 가해자가 되기도 한다. 우리는 언제나 누구에게나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피해자가 되기도 하고 가해자가 되기도 한다.
모든 문제는 이해를 하지 않는 오해로부터 시작되었다. 아니 오해라기보다는 그렇게 믿고 싶었던 ‘편견’으로 시작된 것이다. ‘편견’을 한번 가지게 되면 시야가 좁아지기에 그 이상의 것을 그 보다 넓은 것을 보지 못하는 근시안적 시야를 가지게 된다. 인종차별도 결국 편견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생각을 한다. 편견이라는 거대한 벽을 깨뜨리는 솔루션은 영화에서 제공하지 않는다. 비록 그 오해가 해결되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사람마다 다른 해결책이 있기 때문에 명쾌한 솔루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래도 솔루션을 원한다 하면 ‘색깔’이 아닌 그 ‘본질’ 즉 정체성(identity)를 이해해야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외적인 것은 변성(changeable)을 가지지만 내적인 것은 불변성(immutability)를 가지기 때문에 외적인 것이 아니라 내적인 것, 즉 중심 또는 본질을 이해해야지만 상대방이 누구인지 그리고 내가 누구인지 안다는 것이기에 ‘편견’이 사라질 것이다.
'좌니베어 취미 > 오늘은 어떤 영화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크 타워(Dark Tower, 2017) (0) | 2019.04.03 |
---|---|
인크레더블 2 (Incredibles 2 , 2018) (0) | 2019.03.31 |
더 포리너 (The Foreigner, 2017) (0) | 2019.03.22 |
언니 (No Mercy, 2018) (0) | 2019.03.21 |
극한직업 (Extreme Job, 2019) (0) | 2019.03.21 |